홍무정운역훈

출처 : 고려대학교 도서관

홍무정운역훈

홍무정운역훈 / 洪武正韻譯訓

  • 주제 : 문자,언어(운서)
  • 연도 : 1455

명나라의 『홍무정운』의 한자음을 한글로 적고 주석을 붙인 운서. 1448년경(세종 30) 착수하여 1455년(단종 3)에 16권 8책으로 완성됨. 감장자는 수양대군, 계양군이며, 편찬자는 신숙주, 성삼문, 조변안, 김증, 손수산임. 한자의 중국 표준음을 훈민정음으로 정확히 표시하기 위해 편찬한 것으로서, 앞서 나온 『동국정운』과 함께 훈민정음으로 한자음을 정리하려는 세종의 노력 중 하나임. 이 책의 한글 표기는 훈민정음 창제 초기 우리나라의 음운학 연구를 담아내는 역할을 함. 큰 글자는 목활자로, 작은 글자는 금속활자인 갑인자로 찍음. 현재 14권 7책만 전하며, 보물로 지정됨.

현존자료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로 구성됨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1 원간본(권3-16, 7책) 1455년(단종 3) 고려대학교 도서관 화산문고(보물)
2 원간본(권9) 1455년(단종 3) 고려대학교 도서관 만송문고
3 원간본(권3-4, 1책) 1455년(단종 3) 연세대학교 도서관

영인자료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
1 『홍무정운역훈』 원간본(화산문고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4 [해제:박병채]

원문검색 사이트 명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로 구성됨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 비고
1 고려대학교 화산문고본(권3-16) 국가유산포털
2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원간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역주서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
1 『홍무정운역훈』 김무림/신구문화사 2006 신구문화사(100대 한글문화유산-3)

관련자료

  • 이숭녕(1959), 홍무정운역훈에 관하여, 『국어국문학』 20.
  • 이숭녕(1959), 홍무정운역훈의 연구, 『진단학보』 20.
  • 김완진(1966), 속첨홍무정운에 대하여, 『진단학보』 29·30 합병호.
  • 이숭녕(1968), 홍무정운역훈, 『書香의 苑』 6.
  • 이동림(1969), 홍무정운역훈과 사성통해의 비교: 사성통고의 재구, 『동국대논문집』 5.
  • 이숭녕(1971), 홍무정운의 인식의 시대적 변모,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 성원경(1971), 동국정운과 홍무정운역훈음의 비교 연구, 『학술지』 15, 건국대학교 학술원.
  • 정연찬(1972), 『홍무정운역훈의 연구』, 일조각.
  • 박병채(1973), 홍무정운역훈의 판본에 대한 고찰, 『인문논집(고려대)』 18.
  • 박병채(1973), ‘洪武正韻譯訓’の版本について, 『조선학보』 69.
  • 박병채(1974), 원본 ‘홍무정운역훈’의 결본 복원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 51.
  • 최영애(1975), 홍무정운연구,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중국문학연구소 박사학위논문.
  • 박병채(1975), 홍무정운역훈의 속음고, 『인문논집』 20.
  • 성원경(1976), 홍무정운역훈에 있어서의 문제점, 『한불연구』 3.
  • 박병채(1982), 홍무정운역훈의 古韻 注記에 대하여, 『어문논집』 23.
  • 박병채(1983), ‘홍무정운역훈’의 발음주석에 대하여, 『한국어문학논총』, 추강 황희영박사 송수기념논총간행회.
  • 박병채(1983), 『‘홍무정운역훈’의 신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강신항(1985), 홍무정운역훈 ‘歌韻’의 한글 표음자에 대하여, 『선오당 김형기선생 팔질기념 국어학논총』, 창학사.
  • 박성훈(1987), 홍무정운역훈의 일고찰: 운자의 오각에 대하여, 『국제어문』 8.
  • 박성훈(1987), 홍무정운역훈의 통용운목 중 표기상의 오류와 그 유형, 『동양학』 17.
  • 강신항(1989), 홍무정운역훈 韻母音의 한글 표음자에 대하여, 『이정 정연찬선생 회갑기념논총』.
  • 김무림(1990), 홍무정운역훈의 음운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우민섭(1990), 홍무정운역훈 속음의 ㅸ종성 표기고, 『새국어교육』 46.
  • 우민섭(1990), 홍무정운역훈 속음의 이례적인 종성표기고, 『돌곶 김상선교수 화갑기념논총』.
  • 김무림(1999), 『홍무정운역훈 연구』, 월인.
  • 김태성(2001), 『홍무정운역훈·서』 석보, 『중국연구』 28,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 안병희(2004), 『홍무정운역훈』과 그 권수의 편차에 대하여, 『한국어연구』 2, 한국어연구회.
  • 권은선(2006), 『홍무정운역훈』 중국어 음운체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무림(2006), 『홍무정운역훈』, 100대 한글 문화유산-3, 신구문화사.
  • 안병희(2009), 『국어사 문헌 연구』, 신구문화사.
  • 유효홍(2011), 훈민정음 문자의 전환 방식에 대한 연구: 『홍무정운역훈』의 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안영희(2012), 『洪武正韻譯訓』 훈민정음 표기 ‘ᅨ’의 음운론적 대응, 『구결연구』32, 구결학회.
  • 심소희(2013), 『홍무정운역훈』의 문백이독 연구, 『한중언어문화연구』 33.
  • 조운성(2015), 홍무정운역훈과 절운지장도의 운류 비교, 『국어사연구』 제20호, 국어사학회.
  • 조운성(2015), 홍무정운역훈의 운류와 홍무정운의 반절하자, 『한국어학』 68, 한국어학회.
  • 조운성(2015), 홍무정운역훈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 『대동문화연구』 91,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조운성(2015), 홍무정운역훈과 운경의 운류 비교, 『구결연구』35, 구결학회.
  • 왕민(2016), 조선 전기 한자음의 자음 표기 연구 : 『동국정운』과 『홍무정운역훈』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용권(2016), 『홍무정운역훈』에 나타난 속음의 성격에 대하여, 『언어학』 76, 한국언어학회.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