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ME
  2. 박물관 소장품
  3. 원문 해제

원문 해제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 박물관 소장품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2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3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4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6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7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8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99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0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1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2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3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4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5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6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7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8
  •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109
  • 유물번호 한구000182
  • 명칭월인석보(月印釋譜) 권1
  • 이명칭월인석보, 月印釋譜
  • 지정문화재
  • 작가(생산처)미상
  • 국적
  • 시대한글 창제 이후~16세기 [1568 刊]
  • 크기20.3x17.0cm
  • 판종목판본
  • 문자국한문 혼용
  • 설명
  • 검색어
  • 소장처국립한글박물관
  • 공공누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제 1유형 (출처표시) 마크 제 1유형 (출처표시)

판독문

주석

[개요]
『월인석보(月印釋譜)』는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1447)과 『석보상절(釋譜詳節)』(1447)을 합편(合編)한 책이다. 세종(世宗)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수양대군(首陽大君, 1417∼1468)이 지은 『석보상절』을 주석의 형식으로 수정·편집하여 1459년(세조 5)에 간행하였다. 『석보상절』은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수양대군 등이 세종의 명을 받고, 석가의 일대기를 찬수(纂修) 국역(國譯)한 책이요,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이를 보고 읊은, 약 580여수로 생각되는 讚佛 가사집이다. 이 두 책을 합편함에 있어, 주목되는 점은 용비어천가의 편찬방식을 따랐다는 것이다. 다만 월인석보는 한시가 없고, 주석에 해당되는 석보상절이 국한문으로 된 것과, 또 같은 이야기의 노래를 몇 음씩 묶어 실은 것이 용비어천가와 다르다.

[서지정보]
『월인석보』는 1459년(세조 5)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처음 간행한 이후 부분적으로 지방 사찰에서 16세기 중엽에 복각(覆刻)되었다. 현재 『월인석보』 원간본(原刊本)과 중간본(重刊本)은 영본(零本)으로 전하고 있어 전질(全帙)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권1·2·7·8·9·10·11·12·13·14·17·18·21·22·23이 발견되었다.

[내용]
합편 이전의 책과 조권(調卷)이 달라지고, 『월인천강지곡』 부분은 한자와 독음의 위치, 한자음 종성 ‘ㅇ’, 협주의 추가 등, 부분적 변개와 곡차(曲次)의 변동이 있으나, 『석보상절』 부분은 내용면에서 대폭적인 첨삭이 이루어졌다.

[자료의 가치 및 의의]
『월인석보』는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산문 자료로서 15세기 국어사 자료가 된다. 특히 희방사본 『월인석보』 권1 앞부분에 <훈민정음언해(訓民正音諺解)>가 실려 있어서 훈민정음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책이어서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 중 현재 전하지 않는 내용 부분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또한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 중 현재 전하는 부분과의 비교를 통해 국어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조


  • 담당부서 : 전시운영과
  • 전화번호 : 02-2124-6356

오류신고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