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지곡

출처 : 문화재청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 / 月印千江之曲

  • 주제 : 문학
  • 연도 : 1447

1447년에 세종의 명에 따라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어머니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보상절(釋譜詳節)』을 지어 올린 후, 이를 보고 세종이 석가의 공덕을 찬송하여 지은 노래. 『월인천강지곡』이란 부처가 나서 교화한 자취를 칭송한 노래라는 뜻으로, 상·중·하 3권에 500여 수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음.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상권 1책과 중권의 낙장 일부임.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함께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한국 최고(最古)의 가사(歌詞). 『월인석보』의 「월인천강지곡」 부분이나 다른 문헌이 한자(漢字)를 앞세우고 그 밑에 작은 글씨로 한글 음을 적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데 비하여 『월인천강지곡』은 한글을 앞세우고 그 밑에 작은 글씨로 한자음을 적어 놓았음. 불교문학 및 국어사, 문화사, 서체 등 여러 면에서 가치가 높은 자료임.

현존자료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로 구성됨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1 권 상(금속활자본), 보물 1447년(세종 29) 한국학중앙연구원(소유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권 상, 중(금속활자본, 9장) 일부 전함 1447년(세종 29) 국립중앙도서관(석보상절 권6에 함께 전함)

영인자료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
1 「월인천강지곡」, 『한글』 115 원간본(낙장) 한글학회 1955 『석보상절』 권9와 함께 영인
2 『월인천강지곡』 원간본(권 상) 통문관 1961 원척영인. [해제:남광우]
3 『월인천강지곡』 원간본(낙장) 한글학회 1961 『석보상절』(권6,9,13,19)와 함께 영인
4 「월인천강지곡」, 『국어학』 1 원간본(권 상) 국어학회 1962 [해제:남광우]
5 『주해 월인천강지곡(상)』 원간본(권 상) 허웅·이강로/신구문화사 1966
6 『논주 월인천강지곡(상)』 원간본(권 상) 박병채/정음사 1974
7 『월인천강지곡』 원간본(권 상) 대제각 1978
8 『월인천강지곡』 원간본(권 상) 문화재관리국 1992 원척영인. [해제:안병희]

원문검색 사이트 명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로 구성됨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 비고
1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소장본(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역주서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
1 『주해 월인천강지곡(상)』 허웅·이강로/신구문화사 1962
2 『논주 월인천강지곡(상)』 박병채/정음사(세영사, 1991) 1974
3 『월인천강지곡』 남광우·성환갑/형설출판사 1978
4 Der Mond gespiegelt in Tausend Flüssen von König Sejong/월인천강지곡(상) Sasse, W. & Jung-Hee An 2002 Seoul:Sohaksa Verlag
5 『(역주) 월인천강지곡』 김기종/보고사 2018

관련자료

  • 방종현(1949), 용가와 월곡의 형식에 관한 片見, 『어문』 1.
  • 김사엽(1956), 월인천강지곡고, 『이조시대의 가요연구』, 대양출판사.
  • 남광우(1961), 월인천강지곡(상)에 나타난 희귀어에 대하여, 『한글』 128.
  • 남광우(1962), 세종어제 월인천강지곡 해제. 『세종어제 월인천강지곡(국어학회)』 1.
  • 박병채(1962), 월인천강지곡(상)의 표기와 문법의식, 『문리대학보(고려대)』 4.
  • 박병채(1962), 월인천강지곡의 편찬경위에 대하여, 『문리논집』 6.
  • 허웅·이강로(1962/1999), 『주해 월인천강지곡』, 신구문화사.
  • 김근수(1963), 월인천강지곡의 현대어역과 해설, 『불교사상』 13.
  • 한행자(1964), 월인천강지곡(상)에서 본 동사변화, 『한국어문학연구(이화여대)』 5.- : 123-138.
  • 김종우(1965), 월인천강지곡과 세종의 심상, 『국어국문학』 28, 국어국문학회.
  • 허웅(1969), 월인천강지곡, 『한국의 명저』, 현암사.
  • 사재동(1971), 월인천강지곡의 찬성자에 대하여, 『보운(충남대)』 1.
  • 이동림(1972), 월인천강지곡, 『한국의 사상 대전집 7: 세종』, 동화출판공사.
  • 박병채(1974), 『논주 월인천강지곡』, 정음사.(1991년 증보판, 세영사)
  • 남광우·성환갑 역주(1978), 『월인천강지곡』, 형설출판사.
  • 사재동(1981), 월인천강지곡의 불교서사시적 국면,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 사재동(1982), 월인천강지곡의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 11, 어문연구회.
  • 福井玲(1985), 월인천강지곡 상 KWIC 색인, 사가판.
  • 김차균(1986), 『월인천강지곡』에 나타나는 표기체계와 음운, 『한글』 194.
  • 박병채(1986), 월인천강지곡의 찬자에 대한 재론, 『서정범박사 화갑기념논문집』.
  • 안병희(1991), 월인천강지곡의 교정에 대하여, 『석정 이승욱선생 회갑기념논총』.[안병희(1992)에 재수록]
  • 안병희(1992), 월인천강지곡 해제(영인본 별책), 문화재관리국.
  • 안병희(1992), 『국어사자료연구』, 문학과지성사.
  • 고영근(1993),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 조흥욱(1994), 월인천강지곡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허경(1995), 월인천강지곡의 국어 표기에 대한 고찰, 『논문집』 19, 한국방송통신대.
  • 김진규(1996), 월인천강지곡(상)에 나오는 死語 고찰, 『어문연구』 8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조흥욱(1996), 월인천강지곡의 노랫말 구성 방식에 대하여, 『문학과 언어의 만남』, 신구문화사.
  • 고성환(2000), 『월인천강지곡』의 운율성, 『텍스트언어학』 8, 텍스트언어학회.
  • 박금자(2000), 『월인천강지곡』의 간텍스트성: 『석보상절』과 『석가보』․‘제경’과의 비교, 『텍스트언어학』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2000), 월인천강지곡의 종합적 고찰(학술발표회 자료집).
  • 김선효(2001),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한국 텍스트 과학의 제과제』, 역락.
  • 이종석(2001), 『월인천강지곡』과 선행 불교서사시 비교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 윤석민(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출판부.
  • Sasse, W. & Jung-Hee An(2002), Der Mond gespiegelt in Tausend Flüssen von König Sejong/ 월인천강지곡(상), Seoul: Sohaksa Verlag.
  • 고영근·박금자·고성환·윤석민(2003),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집문당.
  • 조흥욱(2003), 『월인천강지곡』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13-3, 국립국어연구원.
  • 조규익(2004), 『월인천강지곡』의 사건전개 양상과 장르적 성격, 『어문연구』 46, 어문연구학회.
  • 김기종(2006),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문제, 『국제어문』 36, 국제어문학회.
  • 김승우(2006), 『월인천강지곡』의 주제와 형상화 방식, 고려대 대학원(석사)
  • 조흥욱(2008),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 국민대학교 출판부.
  • 정소연(2009),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 비교연구: 양층 언어현상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33, 우리어문학회.
  • 김기종(2010),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보고사.
  • 김성수(2011), 『월인천강지곡』 한글활자 복원을 위한 실험 주조·조판 연구, 『서지학연구』 49.
  • 이호권(2011), 월인천강지곡 결사의 재구 시론: 『월인석보』 권25 권말 주석 복원을 겸하여, 『국어국문학』 157.
  • 사재동, 사진실(2012), 『월인천강지곡』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 유통 양상, 『어문연구』 74.
  • 사재동, 사진실(2012),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演行的) 유통 양상, 『어문연구』 74, 어문연구학회.
  • 정우영(2013), 세종시대 훈민정음 관련 문헌의 국어학적 재조명 : 문헌 연구에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세종학연구』 1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유근선(2014),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 제작의 선후 관계에 대하여, 『어문학』 126, 한국어문학회.
  • 안승준, 유학영(2014),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장서각』 32,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우영(2014), 『월인천강지곡』의 국어사적 가치와 문헌적 성격에 대한 재조명, 『장서각』 32,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지영(2015), 『석보상절(佛所行讚)』과『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붓다관 비교 연구, 『불교연구』 43, 한국불교연구원.
  • 민명숙(2016),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불교사적 의의, 『선문화연구』 21,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김보현(2016), 『월인천강지곡』의 서사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우리문학연구』 51, 우리문학회.
  • 정우영(2018), 『월인천강지곡』의 국어학사적 연구자료로서의 위상, 『한국어학』 81.
  • 옥영정(2018), 『월인천강지곡』의 인쇄사적 가치에 대한 재고찰, 『국어사연구』 26.
  • 천명희(2019), 『월인천강지곡』 텍스트의 복원, 『어문론총』 79.
  • 김보현(2020), 해석의미론과 인지주의적 독서과정 -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62.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