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정운

출처 : 문화재청

동국정운

동국정운 / 東國正韻

  • 주제 : 문자, 언어
  • 연도 : 1448

1448년(세종 30) 신숙주(申叔舟), 최항(崔恒), 박팽년(朴彭年) 등이 세종의 명으로 편찬하여 6권 6책으로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韻書). 『동국정운』은 ‘우리나라의 바른 음’이라는 뜻임. 이 책은 세종의 언어정책을 반영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간행됨. 우리나라 최초로 한자의 음을 한글로 표기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훈민정음을 만든 배경이나 15세기 국어의 음운체계 등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도 함. 다만 여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자음은 현실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이상적인 한자음으로,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으며 오래 유지되지는 못함.

현존자료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로 구성됨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1 권1-6(활자본), 국보 1448년(세종 30) 건국대학교 박물관
2 권1, 6(활자본), 국보 1448년(세종 30) 간송미술관

영인자료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
1 『동국정운』 권1, 6 영본(간송미술관 소장본) 서울대학교 대학원/통문관 1958 [해제:이숭녕]
2 『동국정운』 권1-6 완질(건국대학교 소장본) 건국대학교 출판부 1972 원척영인. [해제:정인승·성원경]
3 『동국정운』 권1-6 완질(건국대학교 소장본) 대제각 1973 재영인

원문검색 사이트 명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로 구성됨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 비고
1 건국대학교 소장본(권1-6) 국가문화유산포털
2 대제각 영인본(권1-6)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관련자료

  • 河野六郎(1940), 東國正韻及び洪武正韻譯訓に就いて, 『東洋文學』 27-4.
  • 김민수(1958), 해제 동국정운, 『한글』 123.
  • 김철헌(1958), 동국정운 초성고, 『국어국문학』 19.
  • 김철헌(1959), 동국정운 운모고, 『국어국문학』 21.
  • 유창균(1959), 동국정운에 나타난 모음의 특색: 특히 훈민정음 모음조직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청구대논문집』 2.
  • 河野六郎(1959), 再び東國正韻に就いて, 『朝鮮學報』 14.
  • 권춘강(1961), 『동국정운계 언해한자음집람』, 이화여대 국어국문학회 국어학연구부.
  • 박묘자(1961), 동국정운에 나타난 ‘君’母 배열과 그 사용범위, 『국어국문학연구(이화여대)』 3.
  • 남광우(1964), 동국정운식 한자음 성조의 연구, 『중앙대논문집』 9.
  • 이동림(1964), 동국정운의 연구: 특히 91운 23자모와 훈민정음 11모음 책정에 관하여, 『동국대논문집』 1·3·4호 합병호.
  • 유창균(1965), 동국정운 연구: 91운의 성립과 그 배경, 『진단학보』 28.
  • 유창균(1965), 동국정운 연구: 운모자 책정의 원류, 『어문학』 12, 14.
  • 이동림(1965), 동국정운 연구: 그 等韻圖 작성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30.
  • 남광우(1966), 『동국정운식 한자음 연구』, 한국연구원.
  • 유창균(1966), 『동국정운 연구』, 형설출판사.
  • 유창균(1966), 동국정운 연구 서설, 『동양문화』 5.
  • 유창균(1966), 동국정운서고, 『아세아연구(고려대)』 22.
  • 유창균(1967), 동국정운식 한자음의 기층에 대한 시론, 『진단학보』 31.
  • 이동림(1967), 유창균 저 『동국정운연구』의 해석, 『동악어문논집』 5.
  • 유창균(1968), 고금운회거요의 반절과 동국정운의 비교, 『동양문화(영남대)』 8.
  • 이동림(1968), 동국정운 연구, 『문교부 학술연구보고서』 1-14.
  • 유창균(1969), 해제 동국정운, 『한국의 명저』, 현암사.
  • 이동림(1970), 『동국정운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 박병채(1971), (서평) 이동림 저 『동국정운 연구』, 『아세아연구』 41.
  • 성원경(1971), 동국정운과 홍무정운역훈 음의 비교 연구, 『학술지(건국대)』 15.
  • 김선기(1972), 동국정운의 ㅃ, ㄸ, ㄲ의 음가, 『한글』 150.
  • 남광우(1972), 동국정운, 『국회도서관보』 9-1.
  • 성원경(1972), 동국정운 완질본에 대하여, 『문호(건국대)』 6ㆍ7 합집.
  • 손성우(1972), 동국정운 발견과 영인에 대하여, 『서지학』 5.
  • 이동림(1972), 훈민정음과 동국정운, 『문화비평』 4-1호(통권 12)
  • 이흥우(1972), 동국정운 원본 완질 발견의 의의, 『문화재』 2-2.
  • 임창순 외(1972), 조사보고서: 동국정운 편, 『국학자료』 1.
  • 천혜봉(1972), 동국정운의 서지적 고찰, 『도서관학보(이화여대)』 1.
  • 정인승·성원경(1973), 동국정운 연구, 『학술지(건국대)』 15.
  • 정인승·성원경(1973), 동국정운 연구: 원본교주를 시도하여 고금운회거요와 재구편과 비교를 하면서, 『학술지(건국대)』 15.
  • 천혜봉(1973), 초간 완질의 동국정운: 서지학적 측면에 있어서의 고찰, 『문화재』 7.
  • 남광우(1974), 신숙주 등찬 동국정운, 『한국학』 2.
  • 성원경(1975), 『동국정운 색인』, 건국대출판부.
  • 정영주(1979), 동국정운 후음 ‘ᅙ’ 초성고,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 中村完(1979), 東國正韻の史的意義について, 『朝鮮史論集』(上),(旗田魏先生 古稀紀念), 龍溪西舍.
  • 백인빈(1981), 반치음 음가의 재고: 동국정운음을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남광우(1984), 동국정운의 ‘ㆍ’음 연구, 명지대 석사학위논문.
  • 권재선(1985), 세종의 어제동국정운과 신숙주 등의 반절, 『인문과학연구(대구대)』 3.
  • 한태동(1985), 동국정운 연구, 『연세논총』 21.
  • 우민섭(1986), 동국정운 탁성모고, 전주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15-9.
  • 성원경(1989), 한국에서 최초로 한자에 표음한 동국정운고, 『인문과학논총(건국대)』 21.
  • 문선규(1991), 동국정운의 ‘疑’(業)母 자음 표기에 대하여, 『들메 서재극박사 환갑기념논문집』.
  • 이동림(1993), 동국정운 초성자모 23자의 책정과 그 해석, 『국어학』 23.
  • 권혁준(1997),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臻·山攝 음운 체계 비교, 『중국어문논총』 13, 중국어문연구회.
  • 김무림(1997), 동국정운의 편운과 훈민정음의 중성,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 이돈주(1997), 동국정운의 ‘昧於紐攝之要’고, 『강진식박사 화갑기념논총』.
  • 권혁준(1998),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咸,深攝 음운체계 비교, 『중국어문논총』 14.
  • 권혁준(2000),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止,蟹攝 음운 체계 비교, 『중국언어연구』 12, 한국중국언어학회.
  • 권혁준(2001),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效·流攝 음운 체계 비교, 『논문집』(강남대) 38.
  • 이득춘(2001), 『동국정운』에 대하여, 『조선어력사언어학연구』 소수, 역락.
  • 박경송(2002), 『동국정운』에 나타난 조선 음운학자들의 중고한어 음운 연구, 『중국언어연구』 15, 한국중국언어학회.
  • 우창균(2002), 蒙古韻略과 東國正韻, 『국어사연구』 4호, 국어사학회.
  • 신용권(2003), 『고금운회거요』, 『몽고자운』과 『동국정운』, 『알타이학보』 13-1, 한국알타이학회.
  • 유창균(2004), 몽고운략과 동국정운, 『국어사연구』 4, 국어사학회.
  • 이현선(2008), 『동국정운』 한자음 연원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 왕옥지(2009), 『몽고자운』과 『동국정운』의 성모․입성 체계에 대한 심층고찰, 『중국어문논역총간』 24, 중국어문논역학회.
  • 조운성(2010), 동국정운의 성모 체계, 『학술지(구결학회)』.
  • 조운성(2010),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반절하자, 『인문연구』 58.
  • 조운성(2010),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 『서강인문논총』 28.
  • 백수연(2011), 『광운』과 『동국정운』의 비교를 통한 한 · 중 현대초성음가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다영(2011), 동국정운 한자음과 현실 한자음의 비교연구 : 지섭과 해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운성(2011), 동국정운의 業모와 欲모, 『구결연구』 26.
  • 조운성(2011), 동국정운의 운모 체계, 『학술지(구결학회)』.
  • 조운성(2011). 『동국정운』 한자음의 성모와 운모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차익종(2012),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문헌 속의 동국정운 미수록자(未收錄字) 와 그 주음(注音), 『관악어문연구』 37권, 서울대학교.
  • 노상봉(2013), 『육조법보단경언해』에 나타난 한자음 연구 : 『동국정운』과 비교를 통하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차익종(2014), 동국정운식 한자음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사재동(2014), 纂經『東國正韻』의 編緯와 活用樣相, 『국학연구론총』 13호, 택민국학연구원.
  • 차익종(2014), 동국정운의 중성 배열 원리에 대하여, 『국어학』 70, 국어학회.
  • 정연찬(2015), 동국정운은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언어와 정보 사회』 24,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 차익종(2016), 《동국정운》 복수음의 문헌 속 단일화 양상 -《고금운회거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 77, 국어학회.
  • 임다영(2018), 동국정운한자음 중성 교정에 대한 고찰 - ㆁ 종성류를 중심으로 -, 『규장각』 53,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김은희, 김민경, 김서영(2020), 『전운옥편』에 나타난 정·속음의 성격 고찰 상(上) ― 『동국정운』 음운 체계와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언어연구』 86, 한국중국언어학회.
  • 문성호(2020), 『동국정운』 한자음의 종성 ‘ㅭ’·‘ㅱ’ 고찰 - ‘ㆆ’·‘ㅇ’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김서영, 안영실, 김민경(2020), 한어 중고음의 치음 소고 : 『동국정운』·『훈몽자회』 치음과의 비교를 통해, 『중국학』 73, 대한중국학회.
  • 김서영, 문성호, 김민경, 안영실, 이길경(2021), 동국정운 후음의 ‘청⋅탁’ 연구 -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중국학연구』 96, 중국학연구회.
  • 차익종(2021), 이영보래(以影補來) 표기의 동기와 ㅭ종성 음절의 음운론적 성격에 대하여, 『인문학연구』 61,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문성호(2021), 중국 음악 문화와 고금(古琴) 기보법에서 살펴본 『동국정운』 한자음 ‘ㅭ’·‘ㅱ’의 결합 원리 소고(小考), 『용봉인문논총』 58,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문성호(2021), 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살펴본 『동국정운』 한자음의 ‘청·탁’에 대한 고찰, 『어문론집』 85, 중앙어문학회.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