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출처 : 문화재청

석보상절

석보상절 / 釋譜詳節

  • 주제 : 불교서(불경언해)
  • 연도 : 1449

1447년에 세종의 명에 따라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어머니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지은 석가모니 부처의 일대기 등으로, 1447년(세종 29)에 전 24권 24책으로 간행함. 수양대군이 쓴 서문에 따르면 중국 사람이 지은 『석가보』, 『석가씨보』 등을 참고하여 한문으로 먼저 만들고 그것을 우리말로 번역함. 이 책은 조선 전기의 다른 한문 번역본들과는 달리 한문 원문이 함께 실리지 않았으며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을 살려 번역하였음. 인쇄에 사용된 한글 활자는 한글 창제 이후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글자의 모양이 둥근 점과 직선으로 되어 있어 요즈음의 돋움체(고딕체) 글꼴과 비슷함. 『석보상절』은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서체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불교학, 국문학, 국어학 등 여러 분야의 연구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님.

현존자료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로 구성됨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1 권6, 9, 13, 19(금속활자본), 보물 1447년(세종 29) 국립중앙도서관
2 권20, 21(금속활자본) 1447년(세종 29) 국립중앙박물관(호암미술관 구장본)
3 권23, 24(금속활자본), 보물 1447년(세종 29) 동국대학교 도서관
4 권3(무량사판, 번각본) 1561년(명종 16) 개인 소장
5 권11(무랑사판, 번각본), 보물 1560년대 국립중앙박물관(호암미술관 구장본)

영인자료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
1 「석보상절」, 『한글』 111-125 원간본(권6, 9, 13, 19) 한글학회 1955-59 [해제:김민수]
2 『석보상절』 중간본(권11) 어문학회 1959 [해제:심재완]
3 『석보상절』 원간본(권6, 9, 13, 19) 한글학회 1961 [해제:김형규]
4 『석보상절』 원간본(권23, 24) 동악어문학회 1967 문교원(원척영인).[해제:이병주]
5 『석보상절 제23·24 주해』 원간본(권23, 24) 김영배/일조각 1972
6 『석보상절』 원간본(권6, 9, 13, 19, 23, 24) 대제각 1973 재영인
7 『석보상절 제3 주해』 중간본(권3) 천병식/아세아문화사 1985
8 『역주 석보상절(제13,19)』 원간본(권13, 1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9 『역주 석보상절(제6,9,11)』 원간본(권6, 9)+중간본(권1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10 『석보상절 제23·24 연구』 원간본(권23, 24) 김영배/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원문검색 사이트 명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로 구성됨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 비고
1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권6) 디지털한글박물관
2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권9) 디지털한글박물관
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권11) 국가문화유산포털
4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권13) 디지털한글박물관
5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권19) 디지털한글박물관
6 동국대학교 도서관 소장본(권23, 24) 국가문화유산포털

역주서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
1 『주해 석보상절』 이동림/동국대학교 출판부 1959
2 『석보상절 제23·24 주해』 김영배/일조각 1972
3 『석보상절』(상, 하) 김영배/동국대학교 역경원(현대불교신서 57·58) 1980
4 『석보상절 제3 주해』 천병식/아세아문화사 1985
5 「석보상절 제3 注」, 『동경어문논집』2 김영배/동국대학교 1986
6 『역주 석보상절 제6 , 9, 11』 허웅·김석득·김영배/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7 『역주 석보상절 제13, 19』 김영배·김정수/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8 『석보상절 제23·24 연구』 김영배/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9 『(역주)석보상절 제20』 김영배/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2
10 『(역주)석보상절 제21』 김영배/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2
11 『석보상절』 3, 6, 9, 11, 13, 19, 20, 21, 23, 24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8

관련자료

  • 今西龍(1930), 月印千江之曲と釋譜詳節に就きて, 『朝鮮』 185.
  • 江田俊雄(1936), 釋譜詳節と月印千江之曲と月印釋譜, 『朝鮮』 255.[천병식(1985)에 번역 재수록]
  • 김민수(1955), 석보상절 해제, 『한글』 112.
  • 남광우(1955), ‘석보상절’ 권6을 보고, 『한글』 113.
  • 박종화(1958), 석보상절의 표기법 시고,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 심재완(1959), 석보상절 권11에 대하여, 『청구대논문집』 2.
  • 이동림(1959), 『주해 석보상절』, 동국대학교출판부.
  • 남광우(1959), 석보상절 권11에 나타난 귀중어에 대하여, 『한글』 125.
  • 심재완(1960), 석보상절 권11에 대하여: 판본고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2.
  • 고영근(1961),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와의 한 비교: 몇 개의 어형변화를 중심으로, 『한글』 128.
  • 김형규(1961), 석보상절 해제, 『(영인본) 석보상절』, 한글학회.
  • 이기백(1965), 석보상절의 해석문법 연구, 『어문학』 12, 대구: 한국어문학회.
  • 이병주(1967), 석보상절 제23·24 해제, 『동악어문논집』 5.
  • 이병주(1967), 석보상절 제23·24 引得, 『동악어문논집』 5.
  • 제홍규(1969), 국립중앙도서관 귀중도서해제: 석보상절 제 6ㆍ9ㆍ13ㆍ19, 『도서관』 133.
  • 김영배(1969), 석보상절 제23·24의 어학적 고찰, 『새국어교육』 12.
  • 김영배(1969), 석보상절 제23·24의 희귀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논문집(동국대)』 7
  • 김영배(1972), 『석보상절 제23·24 주해』, 일조각.
  • 김영배(1973), 석보상절 제13 저경고, 『수련어문논집(부산여대)』 1.
  • 안병희(1974), 석보상절의 교정에 대하여, 『국어학』 2.
  • 김영배(1974), 석보상절 권9와 월인석보 권9, 『수련어문논집(부산여대)』 2.
  • 인권환(1975), 석보상절의 문학적 고찰, 『민족문화연구』 9,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 김영배(1975), 석보상절 권13 저경고, 『국어국문학』 61.
  • 김영배(1975), 석보상절 권19에 대하여, 『부산여대논문집』 2·3 합집.
  • 김영배(1975), 석보상절 해제, 『국어국문학논문집(동국대)』 9·10 합집.
  • 성낙수(1975), 석보상절에 나타난 동사류의 종결접미사 연구, 『언어와문학』 3.
  • 江田俊雄(1977), 『朝鮮佛敎史の硏究』, 東京: 國書刊行會.
  • 김정애·박복선(1977), 석보상절 권 23·24의 어휘 비교, 『수련어문논집(부산여대)』 11.
  • 방옥산(1978), 석보상절 조어론 연구, 동아대 석사학위논문.
  • 김영배(1980), 『석보상절』(상,하), 현대불교신서 57·58, 동국대역경원.
  • 천병식(1981), A Bibliographical Study on Newly Discovered Seogbo-sangjeol Vol. 3,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38.
  • 박노원(1982), 석보상절의 서사문학적 성격, 동아대 석사학위논문.
  • 김영신(1983), ‘석보상절’의 어휘 연구, 『부산여대논문집』 15.
  • 김종택(1983), 석보상절의 표현구조, 『배달말』 8.
  • 천병식(1985), 『석보상절 제3 주해』, 아세아문화사.
  • 덕성여대국문과(1985), 석보상절 13 색인(상), 『덕성어문학』 2.
  • 강규선(1985), 중세국어의 시제연구: 석보상절 제6권을 중심으로, 『인문과학논집(청주대)』 4.
  • 김영배(1986), 『석보상절 제3』의 오각과 희귀어에 대하여, 『시원 김기동박사 회갑기념논문집』, 교학사.
  • 김영배(1986), 석보상절 제3 注, 『동경어문논집(동국대)』 2.
  • 김영배(1986), 『석보상절 상․하』, 동국대불전간행위원회.
  • 덕성여대국문과(1986), 석보상절 13 색인(하), 『덕성어문학』 3.
  • 정진원(1990), 설화자의 입장으로 살핀 석보상절 6의 경어법, 『홍익어문』 9.
  • 천혜봉(1990),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동활자본 석보상절(제20권), 『가나아트』 3-4.
  • 김사권(1990), 석보상절에 나타난 조어법 연구,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 신경철(1991), 석보상절의 字釋 고찰, 『우산어문학(상지대학)』 1.
  • 허 웅(1991), 『역주 석보상절 제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김무봉(1991), 석보상절과 정음, 『불교문학연구입문』, 동화출판공사.
  • 김석득(1991), 『역주 석보상절 제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김영배(1991), 『역주 석보상절 제1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김영배(1991), 『역주 석보상절 제1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김정수(1991), 『역주 석보상절 제19』,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1991), 『역주 석보상절 제6, 9, 11』.
  • 세종대왕기념사업회(1991), 『역주 석보상절(제13, 19)』.
  • 황희영(1992), 석보상절 대화체 문장의 성조 기표의 실체, 『성원경박사 회갑기념논문집』.
  • 노양수(1992), 석보상절에 나타난 조어법 연구, 동아대 석사학위논문.
  • 고영근(1993),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 문헌연구회(1994), 『석보상절 문법형태 색인집』, 태학사.
  • 이봉규(1995), 석보상절 권20과 월인석보 권18의 대비 연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금자(1995), 석보상절, 월인석보의 텍스트 범위와 텍스트 통합성, 『텍스트언어학』 3.
  • 이호권(1998), 석보상절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정진원(1998), 석보상절 권13과 법화경언해의 텍스트 비교분석, 『백련불교논집』 8, 백련불교문화재단.
  • 김교훈(1998), 15세기 국어의 사잇소리 연구: 석보상절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 남성우(1998), 『석보상절』 권21과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한국어문학연구(한국외국어대)』 9.
  • 양영희(1999), 『월인석보』와 『석보상절』에 나타난 인물의 위계, 『국어국문학』 123.
  • 김동소(2000), 『석보상절 어휘 색인』, 대구: 대구가톨릭대 출판부.
  • 김문오(2000),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소재 석보상절’의 대조 연구, 『어문논총』 33, 경북어문학회.
  • 김언주(2000), 석보상절에 나타난 이름씨 배합구성 연구, 『우리말연구』, 우리말학회.
  • 김영배(2000), 『국어사자료연구: 불전언해 중심』, 월인.
  • 안임숙(2001), 『석보상절』의 연결어미 ‘-어/-아’ 연구, 대구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 이호권(2001),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국어학회, 태학사.
  • 김상태(2001), 『석보상절』의 문체 연구: 권6의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청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남성우(2001), 『석보상절』 권24와 『월인석보』 권25의 동의어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14,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 미즈노슌뻬이(2001), 한국어 어휘의 어종 구성 변화에 관한 소고: 석보상절 권6 원문과 역주문의 어종 구성을 중심으로, 『계량언어학』 1.
  • 김상태(2002), 『석보상절』 권9 문법현상의 통계적 연구: 형태분석 말뭉치를 이용하여, 『어문연구』 38, 어문연구학회.
  • 김언주(2002), 『석보상절』에 나타난 이름씨 배합구성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 김영배(2002), 조선 초기의 역경: 최초의 역경 『석보상절』을 중심으로, 『대각사상』 5, 대각사상연구원.
  • 안주호(2003),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진언표기 연구,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 스가이 요시노리(2004), 대격조사의 유무와 문장의 계층구조: 『석보상절』, 『삼강행실도』를 중심으로, 『국어학』 43, 국어학회.
  • 이화숙(2004), 『석보상절』 권3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화숙(2004), 『석보상절』 권3에 대한 일고찰, 『국어사연구』 4, 국어사학회.
  • 김기종(2005), 『석보상절』의 저경과 저경 수용 양상, 『서지학연구』 30, 서지학회.
  • 남성우(2005), 『석보상절』 권21과 『법화경언해』 권7의 번역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1,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 이철재(2008), 『월인석보』 권구와 『석보상절』 권구의 대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8.
  • 사재동(2008), 『월인석보』 권25 소재 『아육왕전』의 문학적 연구, 『국학연구논총』 2.
  • 이민정(2009), 석보상절 권6, 권9의 저본과 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배(2009), 『석보상절 제23․24』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 김유미(2009), 『석보상절』의 기원정사 인연담에 관한 고찰, 『인도철학』 26.
  • 한승주(2010), 『석보상절』과 『금강경삼가해』 언해의 표기법에 관한 소고, 『충남한글』 3.
  • 김유미(2011), Buddhacarita와 『석보상절』의 비교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수현(2012), 협주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를 대상으로, 『한말연구』 30.
  • 송태효(2012), 초기 언해본의 번역인문학적 탐구 : 훈민정음언해, 석보상절, 월인석보의 서문들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16-2.
  • 안신혜(2013), 『석보상절』에서 보이는 의존명사의 문법화, 『겨레어문학』 50.
  • 김무봉(2013), 『석보상절』 권 20 연구 : 서지와 언어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34.
  • 김유미(2013), 붓다 고행담의 전개양상과「석보상절」고행담 고찰, 『인도철학』 38, 인도철학회.
  • 김성주(2014), 『석보상절』 권제3의 저경과 번역, 『국어사연구』 18.
  • 리홍란(2014), 『석보상절』의 높임법 사용양상 연구, 『중국조선어문』 5,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 유근선(2014),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제작의 선후 관계에 대하여, 『어문학』 126, 한국어문학회.
  • 유근선(2014), 『석보상절』권 6, 9, 13, 19의 한자음 교정, 『한민족어문학』 67, 한민족어문학회.
  • 김성주(2015), 『석보상절』 권11과 『월인석보』 권21의 한문과 언해문의 대응 양상, 『국어사연구』 20, 국어사학회.
  • 오지연(2016), 『석보상절』에 대한 불교학적 연구와 그 과제, 『불교학보』 77.
  • 김지영(2017), 『석가여래행적송』과 『석보상절 』의 비교연구, 『불교연구』 47.
  • 김미경(2018), 석보상절 권3의 불경 발췌 양상 연구, 『한국문화』 81.
  • 최기표(2018), 『석보상절』 불교주해의 의의, 『불교학보』 85.
  • 김성주(2019), 『석보상절』 권23․24의 언해문과 원문의 대응 양상 연구, 『서지학연구』 79.
  • 김기종(2019), 『석보상절』의 底本과 그 성격, 『남도문화연구』 38.
  • 고영근(202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석보상절』, 『역주 월인석보』 -1991~2010 『역주 석보상절』 6, 9, 11, 13, 19, 20, 21, 『역주 월인석보』 1, 2, 4, 7ㆍ8, 9ㆍ10, 11ㆍ12, 13ㆍ14, 15, 17ㆍ18, 19, 20, 21(상/하), 22, 23, 25(상/하)를 대상으로-, 『텍스트언어학』 49.
  • 최진(2020), 중세한국어 지시사 ‘그’ 연구: 『석보상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92.
  • 김광수(2020), 15세기 문헌 《석보상절》에서의 불교한자어 특성 연구, 『중국조선어문』 227,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 임용기(2021),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한역 다라니의 한자음과 훈민정음, 『한국어사연구』 7.
  • 이근우(2021), 석보상절의 간행과 정음청의 역할, 『인문사회과학연구』 22-2,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