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행실도언해

출처 : 국립한글박물관

삼강행실도언해

삼강행실도언해 / 三綱行實圖諺解

  • 주제 : 교훈서
  • 연도 : 1481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녀, 부부에게 모범이 될 만한 충신, 효자, 열녀 각 110여 명의 행실을 모아 만든 한문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인물을 각 35명으로 줄여 언해하고 인물의 사적(事蹟)과 그림을 수록하여 3권 1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한 교훈서. 『삼강행실도언해』는 한글 표기 특성과 번역 양식에 따라 1481년(성종 12년) 원간본 계통, 1581년(선조 14년) 중간본 계통, 1730년(영조 6년) 중간본 계통으로 구분됨. 원간본은 1481년(성종 12년)에 간행한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전하지 않음. 『삼강행실도』는 15세기 이후 우리나라 각지에서 수차례 간행되어 널리 읽혔으며, 음운, 표기, 문법, 어휘 등 국어사를 비롯하여 서지학 및 회화사, 문화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님.

현존자료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로 구성됨
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
1 원간본 1490년(성종 21) 전하지 않음
2 원간본 계통 이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성암고서박물관(내사인 있음)
3 원간본 계통 이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개인 소장(「효자도」)
4 원간본 계통 이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런던 영국도서관
5 중간본(원간본 계통) 16세기 전반 성암고서박물관(1518년 문서 배접, 영덕향교 구장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6 중간본(원간본 계통) 16세기 중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7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1579년(선조 12) 추정 일본 東京大 도서관(1579년 향교 소장기록); 일본 早稻田大 도서관
8 중간본(원간본 계통) 1580년(선조 13) 추정 일본 駒澤大 도서관; 일본 국립공문서관 內閣文庫; 일본 東京大 법학부 자료실
9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1581년(선조 14) 추정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일석문고, 1581년 내사본)
10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1592년(선조 25) 이전 일본 국립공문서관 內閣文庫;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미국 의회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원문 제공)
11 중간본(원간본 계통) 1608년(선조 41) 추정 국립한글박물관(한구1059, 「충신도」, 이겸로 구장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심악문고, 이인영 구장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일사문고);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개인소장(1608년 내사본)
12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번각) 17세기 전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연세대학교 도서관(국학자료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3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번각) 17세기 중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상백문고);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14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번각) 17세기 중반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15 중간본(평안도 감영판) 1726년(영조 2) 미국 버클리대 동아시아도서관(해외한국학자료센터 원문 제공);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16 중간본(함경도 감영판) 1730년(영조 6) 일본 天理大 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7 중간본(강원도 감영판) 1730년(영조 6) 국립한글박물관(한구573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계명대 동산도서관
18 중간본(황해도 감영판) 1730년(영조 6)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취암문고)
19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번각) 18세기 이후 국립중앙도서관;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등
20 중간본(언해 순한글표기 번각) 1882년(고종 19) 추정 국립한글박물관(한구295, 1882년 기록); 국립한글박물관(한구1058, 1882년 죽수서원);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만송문고, 1882년 죽수서원); 연세대학교 도서관(국학자료실, 1882년 기록);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1882년 기록)

영인자료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
1 『삼강행실도언해』 중간본(선조판 계통, 성균관대학교 소장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2
2 『삼강행실도언해』 원간본계통(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만송문고본)+선조판계통(성균관대학교본, 상백문고본)+영조판계통(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본) 홍문각 1989 [해제:홍윤표]

원문검색 사이트 명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로 구성됨
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 비고
1 서울대학교 소장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경남 양산시 소장본 국가문화유산포털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본 디지털한글박물관

역주서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로 구성됨
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
1 『諺解三綱行實圖の文獻學的硏究』 志部昭平/東京: 汲古書院 1990
2 『역주삼강행실도』 김정수/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관련자료

  • 小倉進平(1940), 三綱行實圖について, 『書物展望』, 昭和 15年 4月號, 東京.
  • 奧平武彦(1942), ‘三綱行實圖’ 板本攷, 『積翠軒先生華甲壽記念論纂』, 東京.
  • 德田進(1961), 三綱行實孝子圖の複製とその影響, 『高崎經濟大學論集』 5.
  • 김원룡(1965), 삼강행실도 간본고, 『동아문화』 4.
  • 유탁일(1974), 초간 삼강행실도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1, 부산대.
  • 이창교(1974), 삼강행실도: 진본순례, 고대신보 6월 25일.
  • 안병희(1979), 중세어의 한글 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 『규장각』 3.
  • 김원룡(1982), 삼강행실도에 대하여,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平木實(1982), 續三綱行實圖と敎化敎育, 『朝鮮學報』 105.
  • 志部昭平(1989), 諺解三綱行實圖の傳本との系譜, 『東洋學』 19.
  • 志部昭平(1990), 諺解三綱行實圖の文獻學的硏究, 東京: 汲古書院.
  • 고영근(1991), 삼강행실도의 번역연대, 『김영배선생 회갑기념논총』, 경운출판사.
  • 박문성(1991), 『오륜행실도』를 중심으로 한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비교, 『대전어문학』 8, 대전대.
  • 志部昭平(1991), 宣祖改譯三綱行實とその異本, 『金英培先生 回甲紀念論叢』, 慶雲出版社.
  • 志部昭平(1992), 宣祖時改譯の三綱行實について: 主に壬辰之亂前古本について, 『朝鮮學報』 145.
  • 신선경(1995), 삼강행실도의 이본 비교, 『국어학논집』 2,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편, 태학사.
  • 고니시도시오(1995), 『삼강행실효자도』의 한문과 언해문 대조, 『국어학논집』 2,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편, 태학사.
  • 김항수(1998), 『삼강행실도』 편찬의 추이, 『진단학보』 85.
  • 김훈식(1998), 『삼강행실도』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 『진단학보』 85.
  • 이혜순(1998), 열녀상의 전통과 변모: 삼강행실도에서 조선 후기 열녀까지, 『진단학보』 85.
  • 정병모(1998), 『삼강행실도』의 판화에 대한 고찰, 『진단학보』 85.
  • 홍윤표(1998), 『삼강행실도』의 서지 및 국어사적 의의, 『진단학보』 85.
  • 정우영(1999), 삼강행실도 언해본에 나타난 한자음 표기의 양상, 『동악어문논집』 34.
  • 김혁(2001),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구성과 편찬 과정, 『서지학보』 25, 한국서지학회.
  • 석주연(2001), 대영도서관 소장 국어사 자료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29.
  • 남정효(2002), 조선초기 삼강행실도를 통해본 열녀정책,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송일기․이태호(2002), 조선시대 ‘행실도’ 판본 및 판화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1, 서지학회.
  • 강명관(2002), 삼강행실도: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5,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이영희(2006), 『삼강행실도』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언해 양상 비교 연구: 동일 내용을 중심으로, 『국어사연구』 6, 국어사학회.
  • 김유범(2007),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1): ‘효자도’를 대상으로- /김유범 『민족문화논총』 37,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 이정원(2007),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수용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기경원(2008), 삼강행실도를 이용한 판화지도 방안연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김유범(2008),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2): ‘충신도’를 대상으로, 『우리어문연구』 30, 우리어문학회.
  • 오정란(2008), ‘삼강행실도’의 만화기호학적 분석, 『인문언어』 10, 국제언어인문학회.
  • 신은경(2009), 散·韻 혼합담론으로서의 『삼강행실도』 연구, 『국제어문』 46, 국제어문학회.
  • 백두현(2009), 훈민정음을 활용한 조선시대의 인민 통치, 진단학보, 108, 진단학회.
  • 신은경(2009), 『三綱行實圖』의 多聲性 硏究,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 김유범(2015),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3):《열녀도》를 대상으로, 민족문화연구 6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이규범(2015), 『삼강행실도』의 국어사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 연구 - 언해 양상을 중심으로 - = 언해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42, 우리말학회.
  • 이상훈(2018),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서지학적・국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 김유범, 이규범, 오민석(2020),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정본(定本) 수립을 위한 연구: ≪효자도≫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89.
  • 오민석, 김유범, 이규범(2020),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도≫의 원전(原典)과 텍스트 성립 과정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30.
  • 이규범, 오민석, 김유범(2021), 언해본 『삼강행실도』 최고본(最古本)에 대한 비교 연구 : ≪효자도≫를 중심으로, 『국어사연구』 32.

관련영상

상단으로